저는 보드게임을 좋아해요.
보드게임을 할 때 주사위를 자주 사용하는데, 그럴 때마다 궁금한 점이 있어요.
주사위는 왜 대부분 정육면체★ 모양인가요?
다른 모양 주사위는 왜 사용하지 않는 걸까요?
정육면체★ 같은 크기의 정사각형 6개로 둘러싸인 입체도형을 말해요.
이런 모양 주사위도 있다!
주사위는 모두 정육면체라고 생각하겠지만, 정육면체가 아닌 주사위도 있어요.
슈퍼M이 그 진실을 밝혀줄게요!
1975년, 경북 경주시에 남아있는 신라 시대 때의 궁궐 터
‘동궁과 월지’에서 참나무로 만든 주사위가 발견되었어요.
이 주사위의 이름은 ‘주령구’예요.
주령구는 오늘날의 주사위와는 생김새와 특징이 달라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주사위는 크기가 같은 정사각형 6개로 이뤄져 있어서
1부터 6까지 중 특정 숫자가 나올 확률★이 각각 1/6이에요.
그런데 주령구는 정사각형 6개, 육각형 8개로 이뤄진 14면체예요.
정사각형과 육각형면은 모양은 서로 다르지만 그 넓이는 비슷해요.
주령구를 던졌을 때 어떤 한 면이 나올 확률은 1/14이지요.
오늘날 주사위와 주령구의 다른 점은 또 있어요.
정육면체 주사위에는 1부터 6 까지의 수가 표시되어 있지만,
주령구에는 숫자 대신 글자가 적혀 있거든요.
‘노래 없이 춤추기’, ‘얼굴을 간지럽히며 놀려도 참기’, ‘시 한 수 읊기’ 등의 내용이지요.
주령구를 굴려서 나온 내용을 벌칙으로 삼으며 놀이를 즐겼던 거예요.
신라 시대의 귀족들도 우리처럼 주사위를 가지고 놀았다니, 정말 재미있지요?
확률★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의 정도를 수로 나타낸 것을 말해요.
어떤 일이 일어날 확률이 이라면, 6번 중 1번은 그 일이 일어날 수 있다는 의미예요.
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variable: total
Filename: templates/commentlist.php
Line Number: 8
Backtrace: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views/templates/commentlist.php
Line: 8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views/math/newsview.php
Line: 61
Function: view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controllers/Math.php
Line: 180
Function: view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www/index.php
Line: 301
Function: require_o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