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

어과수

2021-09-29 ~ 2021-10-16

네이버가 사용자들의 악성 댓글과 별점 테러 등의 피해를 막기 위해서 매장을 평가하는 별점 리뷰를 폐지하고 키워드 중심 리뷰를 적용한다고 발표했어요. 이 별점 리뷰는 사용자들이 편리하게 매장의 평가를 남길 수 있고, 쉽게 평가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지만 최근 일부 고객들의 악의적인 별점 평가로 가게 주인을 압박하는 수단이 되어 논란이 되었거든요. 하지만 별점 리뷰를 찬성하는 일부 사람들은 별점은 주관적인 정보일 뿐, 별점을 보고 식당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서 매장을 고를 수 있는 정보가 없어진 셈이라고 아쉬움을 토로했어요. 네이버에서는 사라지지만, 별점 시스템은 아직 배달 앱이나 숙박 정보 앱 등 국내외 대다수 플랫폼에서 두루 활용하고 있어요. 여러분들은 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출처 : 동아일보>



 



찬성 : 별점 리뷰를 찬성합니다.



반대 : 별점 리뷰를 반대합니다.



 



토론터에 의견을 작성해 줄 때는 찬성 또는 반대하는 견해를 먼저 밝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꼭 작성해주세요. 의견 없이 작성할 경우, 삭제 조치 될 수 있습니다.



건전한 토론문화를 위해 우리 모두 노력합시다!



 



자신과 반대되는 의견이라고 신고를 누르지 마세요.



 



가장 좋아요를 많이 받은 찬성, 반대 댓글자와 시끌벅적 토론터 주제에 선정된 친구에게는 50DS 포인트를 드립니다.



 

40.43% (19명)

(28명) 59.57%

찬성 베스트 댓글

김지우 2021-09-29 16:30:58

안녕하세요? 김지우 기자입니다. 저는 이번 토론 주제인 '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에 찬성합니다. 이 글은 단지 제 개인적인 의견일 뿐이며, 반박과 댓글 모두 가능합니다. 첫 째, 별점 리뷰는 다른 소비자들이나 구매자들에게 좋은 본보기가 됩니다. 많은 소비자들과 구매자들은 보통 별점과 댓글 리뷰들을 통해서 물건을 구매합니다. 요즘 코로나 19로 인해서 많은 국민들이 재달 음식, 택배 등을 더 자주 주문하는 모습을 흔하게 보실 수 있으실 텐데요. 이 과정에서 자신이 사거나 주문하려는 것이 질은 좋은지, 많은 사람들이 안전하게 이용을 하는지 등등 만족도를 알 수 있는 것은 대부분 많은 분들이 댓글 리뷰라고 생각하실 것 같은데요. 그러나, 리뷰에는 그 가게의 이미지를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 그 가게의 사장, 혹은 직원이 다른 계정이나 아이디로 가입을 해서 많은 가짜 호평들을 남길 수 도 있고, 해당 가게를 방문한 손님들에게 돈을 준 뒤, 댓글 리뷰를 총해서 호평을 남겨주라는 거래(?)를 할 수도 있고요. 하지만, 이를 방안하고 개선, 막을 수 있는 다른 소비자들과 구매자들을 속이지 않고서도 좋은 물건을 구매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별점 리뷰'라는 것이죠. 별점 리뷰는 해당 가게의 사장, 직원들 뿐만이 아니라 그 소품을 전에 구매한 많은 소비자들과 구매자들이 별점 리뷰를 남기는 것이죠. 오히려 댓글 리뷰는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도 있기 때문에,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댓글 리뷰를 별점 리뷰보다 더 꺼려한다고 해요. 이처럼 별점 리뷰는 많은 구매자들과 소비자들에게 그 가게의 실제 인성(?)과 이미지를 나타내는 좋은 방법이라고 합니다. 둘 째, 별점 리뷰는 자영업자들에게 큰 기적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요즘 이 시국에서 가장 먹고 살기 힘든 사람들이 누구신지 아시나요? 바로, '자영업자들'인데요. 별점이 낮은 가게는 이런 상황을 버티기 힘들 것입니다. 코로나 19로 인해서 외출을 꺼리게 되는 요즘 시국, 우리는 외식을 잘 하지 않습니다. 원래부터 인기가 많거나, 유명한 대기업들은 이 시국을 잘 헤쳐나갈 지도 모르지만, 일반 가게들의 주인들은 버티기 힘들 것입니다. 뉴스나 신문을 많이 읽으시는 분들은 달 아시겠지만, 항상 이런 뉴스가 실려옵니다. '자영업자 버티다 못해 자살', '부모님을 목여 살릴 돈이 없어' 등등 마음이 아픈 자영업자들의 사연들이 실려오죠. 요즘 시국으로 인해서 가벼운 좌절에서 시작이 되어 자살까지 가는 안타까운 경우들도 흔하다고 해요. 예를 들어서, 별다방 같은 평소에도 인기가 많거나 드라이브 스루를 통해서라도 돈을 버는 자영업자들이 있는 반면에, 아까 말했듯이 소기업들은 버티기 힘들다고요. 별점 리뷰는 배달을 시키는 사람들에게 깊은 인상을 심어줍니다. 이를 통해서 주문 수가 늘게 되면, 그 가게의 매출도 올라가면서 자영업자들이 적어도 인간답게 살 수 있는 돈은 생기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서 가게도 크게 성공을 할 수 있을 것이고요. 저는 위의 이유들로 이번 토론 주제에 찬성합니다. 이상 김지우 기자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우 기자입니다. 저는 이번 토론 주제인 '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에 찬...

4
더보기
반대 베스트 댓글

권윤아 2021-09-30 13:15:27

안녕하세요?권윤아 기자입니다^^ 저는 '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주제에 반대합니다. 제가 반대하는 이유는 1.악의적인 별점 리뷰/댓글 리뷰 여러분,한 가지만 물어보겠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어떤 가게 주인이셨습니다. 여러분들이 "요즘 우리가게 평점이 어떨까 좀 볼까?"하고 댓글 평점/별점 리뷰에 여러분들 가게와 전혀 무관한 평점이 적혀 있고 '이런 XX' '이 가게 왜 이럼?에휴 돈 내고 가봤는데 돈 낭비였음' 이런식으로 적혀 있다면,여러분은 기분이 어떠세요? 물론 그냥 '아~그러셨구나' 하고 그냥 넘어 가시는 분들도 계시지만 그런 분들 찾기가 저는 조금 어렵다고 봅니다. 상인들의 그런 마음의 상처는 더욱 깊어지고 그 상처는 지우려 할 수록 안좋은 댓글이 달리고 별점 테러도 당하고 더욱 압박감에 시달리고 고객들은 안찾아오고.. 그럼 결국 우울증에 다다라 '극단적인 선택'까지 하시는 분도 계십니다. 이 이유가 제가 반대하는 첫번째 이유였습니다. 2.확실하지 않은 평점 전엔 상인들이 피해를 봐서 반대했던 이유라면 이번엔 고객이 피해를 봐 반대하는 이유입니다. 상인들이 돈을주고 리뷰를 조작할 수 있습니다. 만약 어떤 상인이 네이ㅂ 같은 리뷰를 남기는 기업에다가 돈을 주거나 봇, 부계를 이용해 평점을 최고로 만들어 고객들이 많이 오게 한다면? '불법'이죠. 이런일은 생각보다 자주 일어 납니다. 이런일로 고객분들은 그냥 피해만 보고 떠나시는 거죠..ㅠㅠ 그냥 여기 토론터에 나온것처럼 '키워드 픽' 이라는 기능으로 리뷰를 남기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물론 키워드 픽도 완벽하진 않겠지만요..) 여러분,아무리 작은 것이라도, 여러분이 한 작은 그 짓도, 어쩌면 다른 분의 삶을 망칠 수 있습니다. 결국 리뷰를 안하게 하든, 하게하든 한 분,한 분의 삶은 어쩌면.. 여러분들께 달려 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반대한 이유는 이상 여기까지 입니다. 저의 의견이 담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우리 모두 화이팅 해요! 안녕하세요?권윤아 기자입니다^^ 저는 '별점 리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나요?'라는 주제에 반대합니다....

5
더보기
댓글쓰기
댓글 77
loading

A PHP Error was encountered

Severity: Notice

Message: Undefined variable: total

Filename: templates/commentlist.php

Line Number: 8

Backtrace: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views/templates/commentlist.php
Line: 8
Function: _error_handler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views/play/discussionview.php
Line: 178
Function: view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application/controllers/Play.php
Line: 812
Function: view

File: /var/www/html_dev/mkids_dongascience_com/www/index.php
Line: 301
Function: require_once